積讀家(적독가)

마사코와 마키

오구리 무시타로 · ISBN: 979-11-987118-2-3

마사코와 마키

에로 그로 넌센스가 폭발하는 1930년대 일본 대중문화 그 속에서 자라난 오구리 무시타로의 ‘이단 문학’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은 ‘에로, 그로, 넌센스’의 절정기로, 이러한 분위기는 문단이 추구하던 예술로서의 문학, 혹은 사회주의가 추구하는 전위의 문학을 압도하였다. 이렇듯 기존의 진지하고 경직된 문학에 반기를 들며 일어선 일본의 대중 문학을 ‘이단 문학’이라 일컫기도 한다. 이 시기 이단 문학의 주 무대는 당시 일본 최대의 출판사였던 하쿠분칸(博文館)이 1920년 1월에 창간한 잡지 『신청년(新靑年)』이었다. 『신청년』은 특히 탐정 소설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했는데, 오구리 무시타로 또한 『신청년』 1933년 9월호에 「완전범죄」를 발표하여 데뷔한다. 그의 유명한 작품 「후광 살인사건」, 「성 알렉세이 사원의 참극」, 『흑사관 살인사건』 등은 모두 『신청년』에 발표된 것들로, 이국취미와 현학적 문체 등 오구리 무시타로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작품들이다. 국내에 번역되지는 않았지만 오구리 무시타로가 탐정 소설만큼이나 자주 썼던 소재는 ‘에스’이다. 에스는 시스터의 은어로 소녀 간의 동성연애, 소녀와 성인 여성 간의 동성연애를 의미한다. 이번에 국내에 처음 소개하는 「마사코와 마키」도 오구리 무시타로의 ‘에스 탐정 소설’ 중 하나이다.

“1938년에 『주간 아사히(週刊朝日)』에 발표된 「마사코와 마키」는 에스(エス), 즉 여학생 간의 동성애를 소재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의 눈에 띄었다. 이 작품은 오구리 무시타로의 마지막 에스 탐정 소설이고 중일 전쟁이 확대일로였던 시기에 발표되었다. 그러나 전쟁의 그림자는 하등 느낄 수 없고 소설 속 에스 코드도 살인 사건이나 추리와는 관계가 없어 소재주의의 혐의가 짙다. 그럼에도 남성 작가의 탐정 소설 중에 여탐정이 드물기도 하거니와 1930년대의 에스 문화가 탐정 소설과 결합한 흥미로운 예라서 ‘틈 많은 책장’의 한구석을 채울 만하다는 생각이 들어 번역했다.” -해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