積讀家(적독가)

횔덜린의 광기 (거주하는 삶의 연대기 1806~1843)

조르조 아감벤 · ISBN: 979-11-6790-313-6

횔덜린의 광기 (거주하는 삶의 연대기 1806~1843)

시적 언어로 사유하는 유럽 최고의 지성 조르조 아감벤, 침묵과 광기 속에 거주한 시인 프리드리히 횔덜린을 잇다

우리 시대가 잃어버린 인간다움, 그 복원에 관한 매혹적인 사유

“40세가 되던 해에 횔덜린은 인간으로서 이성을 잃는 것이 현명하다고, 그러니까 재치 있다고 생각했다.” -로베르트 발저

세계적 석학으로 꼽히는 우리 시대 가장 도전적인 사상가 조르조 아감벤의 『횔덜린의 광기-거주 하는 삶의 연대기 1806~1843』이 현대문학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시인들의 시인’이자 철학자들이 가장 많이 호출한 작가인 프리드리히 횔덜린의 삶과 문학을 통해 그의 침묵과 광기를 철학적으로 재조명한 작품이다. 문학, 철학, 신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며 첨예한 언어로 독창적인 사유를 펼쳐온 조르조 아감벤은 유럽 문학사상 가장 비극적인 시인을 호출함으로써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라는 현대성이 끝내 외면한 근본 질문을 급진적으로 소환한다. ‘횔덜린’ 하면 반생을 정신착란 가운데 외롭고 불우하게 살아야 했지만 셸링, 헤겔과 함께 독일 이상주의 철학에 기초를 놓고 헤세와 릴케, 파울 첼란 등 독일의 내로라하는 후대 문학가뿐 아니라 니체와 하이데거, 벤야민, 블량쇼 등 사상가에게까지 깊은 영향을 준 천재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삶은 36세까지 세상과 소통하며 살았던 전반기, 그리고 이후 36년간 정신착란에 빠져 외부 세계와 단절한 채 튀빙엔의 한 목수 집에 은둔하며 살았던 후반기로 나뉘는데, 아감벤은 소위 ‘광기의 시기’로 정의되어온 1806년 이후의 삶과 작품을 조심스레 더듬으며, 철저히 문학적인 동시에 존재론적 독해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횔덜린의 광기를 단순히 병리적 차원으로 보지 않고, 오히려 인간 존재의 근원적 방식, 즉 ‘거주하는 삶das wohnende Leben’이라는 시적, 철학적 가능성을 포착한다. 그럼으로써 그가 병들고 무너진 존재가 아니라 “인간은 이 지상에 시적으로 거주한다”는 자신의 문학적 명제를 온 삶으로 증명해낸 시인이었음을 밝힌다. 『횔덜린의 광기』는 단지 한 시인의 삶에 대한 분석을 넘어 철학과 문학이 공유하는 존재론적 질문의 자리를 복원하려는 시도이자, 여전히 “궁핍한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잃어버린 인간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미학적 고찰이다. 따라서 이 책은 문학과 예술이 단순한 표현의 도구를 넘어 단절된 삶의 균열을 어떻게 봉합하고 새로운 삶의 가능성으로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지 성찰해볼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