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apia · 2025년 3월 6일 가입 · 246권 적독
“예술사회학 연구 분야에서 오래전에 나왔어야 할, 이렇게 흥미진진하고 혁신적이며 짜임새 있는 책을 펴낸 것에 대해 잉글리스와 휴슨은 축하받아야 마땅하다.” - 헬렌 토머스 교수, 런던예술대학 부속 런던패션대학 연구소장
이론에서 실천까지, 예술사회학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통해 보는 예술의 사회적 의미
예술이라는 단어를 보고 우리가 떠올리는 것은 무엇인가? 갤러리에 걸린 그림인가 아니면 콘서트홀에서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인가? 당신이 선호하는 것은 슈워제네거의 영화인가 아니면 발레 공연인가? 이러한 질문들의 답은 우리에 관해 많은 것을 드러내준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 사회가 예술에 대해서 취하는 태도는 그 사회에 관해 많은 것을 말해준다. 예술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인정받고 있는가? 아니면 그저 부차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가? 사회에서는 다양한 사람이 능동적으로 예술 생산에 참여하는가 아니면 그렇지 못한가? 다시 말해 예술을 살펴보는 것은 사회를 살펴보는 탁월한 방식이며, 반대로 사회를 살펴보는 것으로도 예술에 대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애버딘대학의 데이비드 잉글리스와 오타고대학의 존 휴슨이 기획한 이 책은 앨런 스윈지우드, 재닛 스튜어트, 재닛 월프, 폴 윌리스, 헬레나 불프 등 현대 영미 예술사회학을 대표하는 쟁쟁한 이론가들의 글을 한자리에서 탐독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예술의 사회학적 분석이라는 흥미로운 접근방식을 다루는 이 책은 부르디외의 사상부터 문화연구, 사회학적 미학, 예술사, 페미니즘 이론에 이르기까지 예술사회학을 특징짓는 다양한 이론적 개념들을 소개하고, 이러한 이론을 활용하여 회화, 영화, 오페라, 대중음악, 발레, 도시와 건축 등의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예술사회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비판적이고 성찰적인 논의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