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apia · 2025년 3월 6일 가입 · 140권 적독
한국의 정치변동, 민주주의, 사회운동에서 종교의 역할
1945년 해방 이후 초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부터 최근의 코로나 사태에 이르기까지, (넓은 의미에서) 종교 요인은 현대 한국의 정치, 사회 및 문화 변동의 주요한 기제(mechanism)와 변수로 작동해왔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탐구를 통해 현대 한국 사회의 심층을 이해하기 위해서 종교사회학적 논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회운동과 민주화라는 주제에서, 현대 한국 사회 이해의 인식적, 분석적 지평을 종교사회학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그에 더하여 종교 연구에 있어 공간적 접근으로 종교와 사회 연구의 방법론적 전환에 동참하며, 종교공간에 대한 분석틀을 한국의 역사사회적 맥락에 대입하여 활용하기를 시도하였다. 이는 조너선 스미스와 같은 연구자들의 공간적 접근의 필요성과 효용을 설득력 있게 주장해 왔다. 특히나 한국학의 차원에서는, 민주화운동사에 대한 이해에 있어 진일보한 시각을 더한다. 그동안의 한국 민주화운동사에 대해서는 학생과 노동자 등의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에 더 나아가 종교공간적 정치에 주목하여 한국의 민주화운동을 입체적으로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