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lcrose · 2023년 12월 9일 가입 · 259권 적독
장애와 살아낸 현실에서 길어올린 철학적 질문들 딸 ‘세샤’의 의존하는 삶을 통해 그 답을 얻다
페미니스트 철학자이자 장애학과 돌봄이론 분야의 석학, 에바 페더 키테이의 『의존을 배우다』가 출간되었다. 이 책에서 키테이는 중증 인지장애를 가진 딸 ‘세샤’의 어머니로서 딸을 보살핀 경험이 철학자인 자신에게 제기한 문제들을 사유한다. 책은 딸의 장애와 함께 살아낸 개인적인 현실에서 출발해서, 기존 철학의 틀을 토대부터 허무는 새로운 철학을 써나가는 데까지 나아간다. 전통 철학은 사유할 줄 아는 ‘이성’적인 인간을 전제해왔다. 그렇다면 인지장애를 비롯해 다양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키테이의 딸 세샤를 철학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세샤는 말하는 법을 익히지 못했으며, 대화를 할 수 없기에 생각을 하는지조차 알 수 없다. 철학에서 전제하는 인간 조건인 이성을 지니지 못한 세샤를 인간 바깥의 존재로 바라봐야 할까? 자신이 헌신해온 철학이 사랑하는 딸의 존엄성을 보장하지 못할 때, 철학자로서의 삶과 어머니로서의 삶 중 무엇을 택해야 하는가? 키테이는 세샤와 함께한 삶이 철학에 일으키는 불화를 성찰하며, 인지장애라는 렌즈를 통해 좋은 삶과 정상성, 인격과 존엄성 같은 철학적 개념들을 검토하기 시작한다. 세샤는 베토벤과 바흐를 즐겨 듣고, 그 기쁨을 타인과 나누는 능력을 지녔다. 키테이는 세샤와의 삶을 통해, 사유할 줄 아는 능력과 무관하게 기쁨과 사랑을 나누는 능력, 그리고 존재하는 것 자체가 선물임을 배웠다고 말한다. 그리고 전통 철학이 전제하는 인간의 조건에 의구심을 품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깨달음은 인간의 조건을 ‘이성'에서 찾아왔기에, 이성을 지니지 못했다고 여겨지는 소수자나 비인간 존재들의 존엄과 권리에 대해서는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전통 철학의 인격과 존엄성 개념을 근본적으로 뒤흔든다. 이처럼 장애의 렌즈로 철학을 바라볼 때 “삶을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는 가르침을 얻는다.
독립의 반대말은 의존일까? 독립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 상호의존으로 세계를 엮다 한 개인이 온전한 사람으로 대접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 오늘날 우리는 온전한 어느 개인을 그릴 때, 제 몫의 노동을 거뜬히 해내며 스스로를 부양하는 독립적인 성인을 떠올린다. 이처럼 ‘일인분’의 노동을 해내는 “건강하고 왕성한” 노동자를 이상적으로 여겨온 현대 산업사회에서,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의존적이고 취약한 존재들은 낙인찍혀왔다. 그리고 이 낙인에서 장애인 역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돌봄이 필요하며, 의존적이며 취약한 존재, 온전치 못한 존재로 취급받아왔다. 이처럼 의존에 덧씌워진 부정적인 이미지는 대다수의 장애인권 운동가들이 의존과 돌봄보다는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갈 권리를 주장하게 했다. 의존과 독립의 문제는 비단 장애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적자생존과 각자도생이라는 가치관은 내면화되고, 우리 모두는 독립을 자연스럽고 당연한 것으로 심지어는 일종의 의무로 여기고 이상으로 생각한다. 의존하는 이들은 무능하고 미숙하며,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도태된 존재로 여겨진다. 하지만 정말로 의존하는 삶은 불충분한 삶일까? 의존과 독립, 또는 돌봄과 독립은 서로 대립하는 개념일까? 키테이는 타인의 보살핌 없이는 생존할 수 없는 세샤의 극단적인 의존을 바라보며, 낙인찍히고 폄훼되어온 의존에 덧씌워진 오명을 벗겨낸다. 우리 모두는 의존하며 살아간다. 의존하는 이를 돌보는 돌봄제공자 또한 누군가에게 기대고 의존하며 살아간다. 의존 없이 우리는 ‘고립’된 삶을 살 수밖에 없다. 타인과 얽혀 사는 존재로서 우리는 의존을 통해 의미 있는 연결을 만들어내고, 더 잘 의존함으로써 더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다. 인간 존재로서 지니는 취약성과 위태로움이 특별한 친밀감을 경험하게 하며, 타인과 나를 ‘우리'로 상호작용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리 모두의 의존으로 세계를 엮어나갈 때, 우리는 그저 생존하는 삶이 아닌 다 함께 피어나는 존엄한 삶에 다다를 수 있다고 『의존을 배우다』는 말한다. 이는 저자가 장애와 함께한 삶의 생생한 경험에서 이끌어낸 귀중한 가르침이다.
한겨레 S 북섹션